노영기 교수 역사교육연구소 강의.. "한국군, 잘못 끼워진 첫 단추"
[소중한 기자]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사망한 시민의 시신을 끌고 가고 있다. 1980.5.28 |
ⓒ 연합뉴스 |
"광주에 공수부대를 투입한 건 신군부의 창조적인 생각이 아니었다. 박정희 시대의 유산이 5.18 때 증폭된 것이다."
노영기 조선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는 5.18민주화운동 41주년을 사흘, 5.16군사정변 후 60년을 하루 앞두고 진행한 온라인 강좌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는 '청산되지 못한 과거의 축적'이라고 말할 수 있고 특히 한국군은 잘못 끼워진 첫 단추"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들의 5.18 - 정치군인들은 어떻게 움직였나>의 저자이자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2005~2007) 조사관이었던 노 교수는 15일 오후 역사교육연구소 월례강좌에서 '5.18과 국가폭력 그리고 과제'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노 교수는 "(초기 한국군의) 지휘부엔 일본군이나 만주군 출신이 많았고 친일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다보니 제주4.3사건이나 여순사건에서 군이 학살의 주체가 됐다"며 "이후 (6.25) 전쟁을 거치면서 60만 대군이 됐고 그들이 1960년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군은 처음부터 정치권력과 밀착해있었고 국민을 모셔야 하는 기구로서 행동한 적이 별로 없었다"며 "박정희는 내일로 60년인 (5.16) 군사쿠데타를 시행함으로써 18년 동안 (정권을) 장악했다. 군인이 정치를 장악해도 된다는 생각을 신군부가 그대로 보고 배웠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수부대는 원래대로면 전쟁 시 적 후방에 침투해 요인 납치·암살, 시설물 파괴, 항공기 폭격 유도 등을 수행하는 굉장히 공격적인 부대"라며 "(그런 부대가 1979년 부마항쟁 당시) 부산에 투입돼 굉장히 강력한 폭력을 행사했는데, 사실 1961년 (5.16군사정변 때) 한강 다리를 넘어오며 그때부터 공수부대는 쿠데타와 함께 하고 있었다. (1964년 한일회담에 반대한) 6.3항쟁과 이후 계엄령, 위수령 때마다 공수부대가 등장했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이 아닌 포로로 생각"
노 교수는 "(5.18 당시 공수부대가) 왜 그리도 잔인했을까 늘 그게 궁금했다"며 강의를 이어갔다. 그는 "신군부는 12.12군사반란 이후 (권력 찬탈을 위한) 준비를 차곡차곡 진행했는데 그 중 하나가 (1980년) 2월에 이미 공수부대, 수경사령부, 향토사단을 중심으로 진행된 '충정훈련'이다"라며 "낙하훈련, 산악훈련을 해야 할 공수부대가 그런 모든 훈련을 작파하고 시위진압 훈련을 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공수부대는 질서를 유지한다는 의미의 계엄 업무를 수행하기보다 거의 점령군처럼 행동했다"라며 1980년 5월 19일 광주 금남로에서 찍힌 사진 한 장을 내보였다. 사진엔 속옷만 입은 채 공수부대에 잡혀 있는 광주시민의 모습이 담겨 있었다.
"월요일 한낮에 이렇게 사람 옷을 벗겨놨어요. 금남로면 전남도청뿐만 아니라 은행, 회사, 언론사, 각종 상점 등이 있던 광주의 중심가거든요. 이건 거의 포로를 대하는 모습이에요.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일할 때 공수부대를 조사하며 '왜 이렇게 옷을 벗겼냐'고 물어봤어요. '도망 못 가게 하려고, 도망가도 눈에 띄게 하려고' 그랬대요. 당시 공수부대원이 광주시민들을 국민이 아닌 포로로 생각한 거죠."
노 교수는 공수부대 조사 과정에서 들은 또다른 이야기를 전했다.
"(광주시민이 거세게 저항하자) 5월 21일 군이 외곽을 봉쇄하면서 학살을 저지릅니다. 이건 학살이란 말로 표현할 수밖에 없어요. 당시 어땠는지 공수부대에게 물어봤어요. 그랬더니 '영화 <람보>를 봤냐'고 되물어요. '실탄이 지급돼 람보처럼 마음껏 총을 쏠 때가 그때였다'면서요. 공수부대는 광주교도소, 주남마을, 화정동, 백운동 등을 지나는 차량과 사람을 상대로 무차별적으로 총을 쏩니다. 5월 24일엔 전재수·방광범 같은 초등학생과 무서워서 하수구로 도망친 50세 주부 박연옥도 사살해버립니다."
"2017년 계엄대비문건, 5.18 재현될 뻔"
▲ 5.18민주화운동당시 계엄군이 시민들을 연행하고 있다. 1980.5.27 |
ⓒ 연합뉴스 |
노 교수는 5월 27일 전남도청 진압작전(상무충정작전)을 거론하며 "기본 원리는 딱 한 가지였다. 전형적인 비민(匪民, 공비와 양민)분리작전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쪽은 죽여서라도 배제해야 한다는 원리가 작동한 것"이라며 "1930년 만주에서 독립군을 토벌할 때도, 6.25전쟁 때 빨치산을 토벌할 때도 이 논리가 등장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작전은 그 자체로 전투작전, 군사작전이었다. 툭공조가 한 시간만에 주요 시설을 점령하고 보병부대인 20사단 2개 연대와 탱크 18대 및 무장헬기가 들어왔다"라며 "5월 21일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민들로 가득 차있던 공간이 군인과 탱크가 밀고 들어온 공간으로 확실히 재편되고 말았다"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노 교수는 "국가기관 사찰에 대한 소식이나 2017년 (박근혜 정권에 저항한 촛불시위 당시) 계엄대비 문건이 만들어졌던 모습을 생각해보면 지금도 두렵다"라며 "만약 박근혜 탄핵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돼 문건이 실행됐다면 어땠을가. 5.18이 재현됐을 거라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자유게시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와대 앞 - 中·北어선, 불법조업 때문" 반발 (0) | 2021.05.16 |
---|---|
진도 삼별초군 - 고려 (0) | 2021.05.15 |
섬에 놀러간 50대 여자 - 휴대폰 두고 새벽 1시 산책 나갔다 봉변 (0) | 2021.05.15 |
한시 생계비 지원신청 50만 원 (0) | 2021.05.15 |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0) | 2021.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