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된 선박서..내년 정밀발굴

고군산도 해역에서 발견된 고려청자 다발. [사진 제공 =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고군산도 해역 일원에서 난파된 고선박 등 다양한 수중 유적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소 측은 고선박과 관련된 유물 확인을 위해서 내년에 정밀 발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수중문화재 발견 신고를 토대로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선유도, 신시도 등지에서 60여 일간 수중탐사를 한 결과 바다 속 지표면에서만 고려청자 125점, 분청사기 9점, 백자 49점, 닻돌(물에 잘 가라앉도록 나무닻 몸통에 묶는 돌) 3점 등 유물 200여 점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81점의 청자발과 접시가 다발로 포개진 선적 화물 형태로 확인됐고 난파될 당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로 만든 닻과 노, 닻돌 등 선구(배에서 쓰는 기구)가 함께 발견돼 고선박이 이 해역 인근에서 난파됐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 선박 정박지나 피항지로 이용됐던 해역에서는 한번에 많은 배를 수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춰야 했다. 고려시대 고선박 3척과 조선시대 고선박 1척에서 유물 3000여 점이 확인된 마도 해역도 안흥량을 통과하는 배들 정박지였음을 고려할 때 이번에 조사한 고군산도 해역도 같은 용도로 이용됐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미 1872년 만경현에서 제작한 '고군산도 지도'에서 이 해역을 '조운선을 비롯해 바람을 피하거나 바람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머무는 곳'이라고 기록한 것도 이 같은 추정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특히 송나라 사신 서긍이 1123년 고려에 방문했을 때 견문을 적은 여행보고서인 '선화봉사고려도경'에 따르면 선유도는 고려로 오는 사신이 묵는 객관인 군산정이 있던 곳으로 과거에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선박들 중간 기착지로 알려져 있다.
[이한나 기자]
'자유게시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증금 떼일뻔한 전세집 (0) | 2021.12.15 |
---|---|
제주도 지진 4.9 발생 (0) | 2021.12.14 |
무료가입 용돈벌기 / 아마존 파워링크 (0) | 2021.12.12 |
가족간 부동산 거래 (0) | 2021.12.12 |
재활용품 쓰레기 산다 (0) | 2021.12.12 |